카테고리 없음

월급 실수령액 계산 알아보기

^^~%%&& 2017. 9. 8. 16:40


우리가 직장에 다니며 받게 되는 급여는 연봉 3천, 4천 등의 방식으로 표현하는데 이는 세금을 제외하기 전 금액으로 보통 '세전' 금액이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여기서 세금과 4대보험료를 제외한 금액을 실제로 받게 되는데 이는 보통 '세후' 금액이라고 부릅니다. 세금과 4대보험료는 본인의 연봉과 개인의 상황에 따라 납부 금액이 달라지게 됩니다. 



오늘은 간단히 월급 실수령액을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누구나 쉽게 계산이 가능하고 정확한 계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표를 참고하시는것보다 직접 계산을 해보시는것이 좋습니다. 사진에 자세하게 설명할테니 천천히 따라해보시길 바랍니다.



월급 실수령액 계산을 위해 네이버에 사람인을 검색하고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사람인 홈페이지에서는 기업에 대한 연봉정보와 함께 취업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취업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많은분들이 연봉과 관련되서 고민이나 걱정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얼마를 버느냐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쓰느냐가 더욱 중요하기 때문에 이번 실수령액 계산을 통해 계획표를 세우시는것이 좋습니다. 특히 월급의 경우 자동이체를 통해 적금에 넣어두고 남은 금액을 사용하시는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사람인 홈페이지 메인화면에서 검색창에 연봉 계산기를 입력합니다. 검색창 검색 외에도 하단에 표시된 연봉계산기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쉽게 접속이 가능합니다.



검색결과 하단에 표시된 연봉계산기를 한번 더 클릭해줍니다. 위치는 모두 빨간색으로 표시해두었기 때문에 빨간색 테두리만 보시면 쉽게 따라하실 수 있습니다.



연봉과 월급 모두 계산을 하실 수 있으며 연봉의 경우 퇴직금의 포함 여부를 선택하셔야 합니다. 대부분 퇴직금의 경우 연봉에서 제외되서 계산이 되지만 간혹 포함이 되어있는 기업도 있으니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비과세액은 월급 계산기의 경우 입력하게 되며 부양가족수는 본인을 포함한 가족수에 해당됩니다. 모든 정보를 입력하셨다면 계산하기를 클릭합니다.



연봉 3천만원의 경우 실제로 받게 되는 월급은 약 226만원으로 여기에는 소득세, 지방소득세, 국민연금 등 4대보험료를 제외한 금액을 지급받게 됩니다. 연봉이 높아질수록 공제율도 높아지게 됩니다. 계산기 이용을 참고하셔서 생활 지출 계획을 알뜰히 세우시길 바랍니다.